메모리의 기본 개념
컴퓨터 메모리는 컴퓨터 시스템의 핵심 구성 요소 중 하나로, 일시적이거나 영구적으로 데이터를 저장하는 역할을 합니다. 이 데이터는 사용자의 문서와 이미지, 실행 중인 프로그램 및 운영 체제 등 다양한 형태가 될 수 있습니다. 메모리는 여러 가지 유형과 형태로 존재하며, 각각은 특정 목적에 맞게 설계되어 있습니다.
메모리가 필요한 이유
메모리 없이 컴퓨터를 실행하는 것은 불가능합니다. 왜냐하면 CPU(중앙 처리 장치)는 연산을 수행하기 위해 지속적으로 데이터와 명령어에 접근해야 하기 때문입니다. 이 정보들은 메모리에 저장되며, CPU는 필요할 때마다 이들을 불러오거나 변경합니다.
메모리의 또 다른 중요한 역할은 '일시적인 저장 공간'을 제공하는 것입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워드 프로세서에서 문서를 작성하면 해당 내용은 RAM(랜덤 액세스 메모리)에 일시적으로 저장됩니다. 그런 다음 사용자가 문서를 "저장"하면 해당 내용이 하드 드라이브와 같은 영구 스토리지 장치에 기록됩니다.
컴퓨터 메모리의 역할과 CPU와의 상호작용
컴퓨터 시스템에서 CPU와 메모리 사이의 상호작용은 매우 중요합니다. CPU는 '컴퓨터의 두뇌'라고 할 수 있는데, 모든 계산과 결정을 처리합니다. 그러나 이 모든 작업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데이터와 명령어에 접근해야 하는데, 바로 여기서 메모리가 중요한 역할을 담당합니다.
CPU는 연산에 필요한 데이터를 읽기 위해 RAM과 같은 주 기억장치로부터 정보를 가져오고('읽기' 연산), 결과값을 다시 RAM으로 보냅니다('쓰기' 연산). 이러한 과정을 통해 CPU는 실행 중인 모든 프로그램과 작업을 처리합니다.
메모리 유형과 그 차이점
컴퓨터 시스템에서는 다양한 유형의 메모리가 사용되며, 각각은 특정 목적에 맞게 설계되어 있습니다. 이들 중 가장 일반적인 것들은 RAM, ROM, 그리고 캐시입니다.
RAM (Random Access Memory)
RAM은 컴퓨터에서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메모리 유형입니다. RAM은 '랜덤 액세스 메모리'라는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데이터를 임의로 읽고 쓸 수 있는 특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것은 CPU가 필요한 데이터를 빠르게 찾을 수 있도록 해주므로, 컴퓨터의 전반적인 성능에 큰 영향을 미칩니다.
RAM은 일시적인 데이터 저장소로 작동하며, 컴퓨터가 꺼지면 모든 정보가 사라집니다. 이러한 특성 때문에 RAM을 '일시적인' 또는 '휘발성' 메모리라고도 합니다.
ROM (Read Only Memory)
ROM은 '읽기 전용 메모리'로, 한 번 기록된 정보를 변경할 수 없습니다. ROM에 저장된 정보는 컴퓨터가 꺼져도 지워지지 않으므로 '비휘발성' 메모리라고도 합니다.
ROM에는 보통 BIOS와 같이 시스템 시작 시 필요한 프로그램이 저장됩니다. 이 프로그램들은 컴퓨터 부팅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며, 디스크 드라이브나 운영 체제 등 다른 요소를 초기화하고 검사하는 작업을 담당합니다.
캐시 (Cache Memory)
캐시 메모리는 CPU와 RAM 사이의 속도 격차를 줄이기 위해 설계된 매우 빠른 메모리입니다. CPU가 반복해서 접근하는 데이터나 명령어들을 캐시에 저장함으로써 CPU의 성능과 획일성을 개선합니다.
캐시는 비용 대비 용량이 크지 않아서 전체 용량이 RAM이나 하드 드라이브보다 훨씬 작습니다. 그러나 캐시 메모리의 빠른 속도는 CPU가 더 효율적으로 작동하게 만들어 컴퓨터의 전반적인 성능을 향상시킵니다.
메모리 관리
운영 체제의 중요한 역할 중 하나는 메모리 관리입니다. 이것은 프로그램이 실행되고 데이터가 처리될 때 메모리 공간을 효율적으로 할당하고 회수하는 것을 포함합니다. 운영 체제의 메모리 관리 기능은 시스템의 성능과 안정성에 큰 영향을 미칩니다.
메모리 할당
운영 체제는 프로그램이 시작될 때 필요한 메모리를 할당합니다. 이 과정에서 운영 체제는 프로그램에 필요한 충분한 RAM 공간이 있는지 확인하고, 해당 공간을 해당 프로그램에게 "확보"합니다.
메모리 보호
각 프로그램은 자신에게 할당된 메모리만 사용해야 합니다. 한 프로그램이 다른 프로그램의 메모리에 접근할 수 있다면, 그 결과로 시스템 충돌이나 데이터 손실 등 심각한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운영 체제는 각각의 프로세스가 오직 자신에게 할당된 영역만 사용하도록 보장하는 '메모리 보호' 기능을 제공합니다.
메모리 회수
프로그램이 종료되면, 그동안 사용하던 메모리 공간은 다른 프로세스나 운영 체제가 재사용할 수 있도록 해야 합니다. 운영 체제는 종료된 프로세스가 사용한 메모리를 식별하고 회수하여 빈 공간으로 만들어 재활용합니다.
페이징 (Paging)
페이징은 가상 주소와 물류 주소 사이에서 데이터를 나누어 저장하는 방법입니다. 가상 주소 공간(Virtual Address Space)과 물류 주소 공간(Physical Address Space)은 페이지라고 하는 일정한 크기의 조각으로 나뉘며, 간단하게 말해 가상 주소와 물리 주소 사이에서 매핑(mapping) 작업을 수행하여 데이터 접근을 가능케 합니다.
페이징은 다양한 크기와 유형의 페이지를 사용하여 획일적인 접근 방식과 유연성을 제공합니다. 이 방식으로 인해 여러 개의 프로세스들이 동시에 실행될 때 간섭 없이 각자 독립적인 가상 주소 공간에서 작동할 수 있습니다.
세그멘테이션 (Segmentation)
세그멘테이션은 가상 주소와 물류 주소 사이에서 세그멘테이션 하는 단위로 데이터를 분할하여 저장하는 방법입니다. 세그멘테이션이 서로 다른 크기와 요구 사항을 가진 코드, 스택, 힙 등 여러 개의 세크멘테이션 구성됩니다.
세그멘테이션 기법은 다양한 크기와 요구 사항을 가진 데이터 구조 및 객체들에 대해 획일적인 접근 방식과 짧은 읽기/쓰기 시간 제공합니다.
운영 체제는 페이징과 세그멘테이션 기법 중 하나 혹은 두 개 모두를 결합하여 적절하게 활용함으로써 사용자가 실행 중인 여러 개의 프로그램들 사이에서 공정하고 획일적인 접근을 보장합니다.
'IT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소프트웨어 개발자가 되고 싶다면 어떻게 해야될까 (0) | 2023.10.28 |
---|---|
컴퓨터의 첫걸음 - 시스템 부팅 과정 이해하기 (0) | 2023.10.24 |
네트워크 동작 원리를 통해 본 디지털 세계 (0) | 2023.10.13 |
누구나 배울 수 있는 소프트웨어 공학 (0) | 2023.10.11 |
컴퓨터 공학 없이도 가능한 개발자 되기 (0) | 2023.10.11 |